-
고려아연(010130) 기업 분석 — 글로벌 1위 제련사, 다각화와 친환경 전환 중심한국 주식/한국 주식 2025. 6. 20. 22:00
고려아연(010130)은 아연, 연, 금, 은, 동 등 비철금속 제련 분야에서 글로벌 1위를 차지하는 기업입니다.
전통 금속 제련 사업 위에 이차전지 소재, 신재생에너지·수소, 자원 순환 등 신사업을 병행하면서
수익성과 지속 가능한 성장 기반을 마련하고 있습니다.Table of Contents
2. 최신 실적 및 수익성
6. 투자 요약 및 리스크
1. 사업 구조 및 제품 포트폴리오
고려아연은 전통 제련 사업에서 아연, 연, 금, 은, 동 등을 생산하며 글로벌 시장을 선도합니다.
부산물로 발생하는 금·은·구리 등도 함께 상업화하며 수익성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.
최근에는 온산제련소의 동 생산 추가, 이차전지 소재, 자원 순환, 신재생·수소 등 신사업에도 진출하고 있습니다.- 제품: 아연·연·금·은·동 제련 및 부산물 판매
- 글로벌 생산 능력: 아연 64만t, 연 43만t 등으로 세계 1위 제련사
- 신사업 영역: 이차전지 소재, 폐배터리, 그린수소, 풍력
2. 최신 실적 및 수익성
2024년 매출은 약 12.05조 원, 영업이익은 약 1.14조 원을 기록했으며
2025년 1분기에는 매출 3.83조 원, 영업이익 2,711억 원으로 영업이익률 약 7% 수준을 유지 중입니다.
분기 기준 100분기 연속 흑자 달성으로 사업 안정성을 입증했습니다.- 2024 매출: 12.05조 원 · 영업이익: 1.14조 원
- 2025 1분기 매출: 3.83조 원 · 영업이익: 2,711억 원 (영업이익률 약 7%)
- 분기 순이익률도 5% 내외로 견고
- 연속 100회 이상 분기 흑자 기록
3. 재무 안정성과 차입금 관리
기존 장기 무차입 구조를 유지했으나, 최근 M&A 및 자사주 매입 등으로 차입금이 증가했습니다.
2024년 9월 기준 순차입금은 약 3,139억 원 수준이며,
차입 증가에도 높은 현금성 자산과 재고가 있어 유동성은 안정적입니다.
회사 측은 저금리 차환 등을 통해 재무 건전성을 회복 중입니다.- 2024.9 기준 순차입금: 약 3,139억 원
- EBITDA 연 1조 이상 창출, 높은 현금흐름
- 재고자산 가치가 높아 유동성 부담 낮음
- 자기주식 처분·채권 발행 등으로 재무 개선 노력
4. 신사업·친환경 전환 전략
고려아연은 MacIntyre 풍력발전 프로젝트(2025년 상업운전) 등 친환경 에너지 전환을 추진 중입니다.
또한 동 생산 확대, 이차전지 소재 공정 상업화, 폐배터리 자원 순환 등
전통 금속 기반 사업에 친환경·미래 산업을 결합하는 전략을 실행하고 있습니다.- MacIntyre 프로젝트: 풍력발전 상업 운전 2025년 완료
- 이차전지 소재: 전구체 양산체제 구축
- 자원 순환 사업 확장 및 동 생산량 증가
5. 밸류에이션 및 투자 지표
PER은 약 30~60배, PBR은 약 1.7~2.2배 수준입니다.
EV/EBITDA는 9~14배 범위에 위치하며, 배당수익률은 2.2% 수준입니다.
금속 가격과 환율 변동성이 반영되어 밸류에이션 등락이 크지만
글로벌 리더 지위와 신사업 기대를 고려할 때 밸류 매력은 여전합니다.- PER: 약 30–60배
- PBR: 약 1.7–2.2배
- EV/EBITDA: 약 9–14배
- 배당수익률: 약 2.2%
6. 투자 요약 및 리스크
고려아연은 글로벌 제련 강자로서 안정성과 수익성을 보유하며,
친환경 전환 및 신사업 확대라는 성장 동력을 더해가고 있습니다.
다만 최근 차입 확대, 금속가격 변동, 경영권 분쟁 등 리스크는 여전히 존재합니다.
투자자는 분할매수 전략과 금속시장 추이, 재무 구조 개선 흐름을 함께 모니터링해야 합니다.📢 고려아연에 대한 여러분의 분석이나 의견이 있다면 댓글로 공유해주세요!
📖 비철금속, 친환경 에너지 기업 분석 글도 함께 보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.
🔄 이 글이 유익했다면 SNS로 주변에 공유해주세요!'한국 주식 > 한국 주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HD현대일렉트릭(267260) 기업 분석 — 전력기기 기술력 기반 친환경 에너지 플랫폼 (2) 2025.06.21 삼성중공업(010140) 기업 분석 — 조선·해양 경쟁력 회복과 실적 개선 신호 (1) 2025.06.21 크래프톤(259960) 기업 분석 — 글로벌 IP 기반 수익성 강자 (0) 2025.06.20 한국전력(015760) 기업 분석 — 수익성 개선과 친환경 전환에 주목하는 에너지 공기업 (0) 2025.06.20 SK스퀘어(402340) 기업 분석 — ICT 투자 중심의 가치 창출 플랫폼 지주사 (3) 2025.06.20